"환자 위한 대안 제시해야" 등 갈등 해결 촉구
‘대한민국정부 한국의료 사망선고’ 촛불집회서 피력

(왼쪽부터) 이름을 밝히지 않은 응급의학과 사직 전공의와 응급의학과를 사직한 전호 전공의는 연단에 올라 진정한 의료개혁을 이루기 위한 방안을 발표했다(ⓒ청년의사).
(왼쪽부터) 이름을 밝히지 않은 응급의학과 사직 전공의와 응급의학과를 사직한 전호 전공의가 지난 30일 ‘대한민국정부 한국의료 사망선고’ 촛불집회에서 정부의 의료개혁을 비판했다(ⓒ청년의사).

사직 전공의들이 대한의사협회가 지난 30일 서울 덕수궁 앞에서 개최한 ‘대한민국정부 한국의료 사망선고’ 촛불집회에 참여해 "진정한 의료개혁"을 이루기 위해선 정부와 의료계가 함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자신을 ‘김 아무개’라고 소개한 응급의학과 사직 전공의는 파킨슨 환자인 아버지를 둔 보호자 입장에서 의료계가 나서 환자들이 더 좋은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했다.

의료계가 그동안 우리나라 의료의 질이 훌륭하다고 주장해 왔지만 병원에 갈 때 느끼는 불편함이 있는 만큼 국민 입장에선 납득하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그는 “의료계의 주장은 ‘우리나라 의료는 아주 좋으니 하라는 대로 따르라’고 오해될 수밖에 없다”며 “국민을 설득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지만 우리(의료계)의 주장은 국민에 닿기 어려운 것 같다. 가족, 연인 등 소중한 사람들의 건강에 불편함이 생기면 국민에게는 가장 위급한 일이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의료계와 정부 둘 다 국민을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정작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는 곳은 없는 것 같다”며 “국민들은 우리나라의 의료는 세계에서 손꼽힌다고 하는데 왜 병원에 갔을 때에는 불편하고 힘든가. 불편함으로부터 야기된 불만은 의료계를 향한 의문으로 변질됐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국민으로서 병원을 이용할 때 느꼈던 의문과 답답함이 바로 갈등 해결의 실마리”라며 “국민은 의료계가 어떤 것을 포기하고 희생했는지에 대해선 중요하게 보지 않는다. 환자가 얼마나 건강해졌는지, 얼마나 의료비를 아낄 수 있는지 등이 최대의 관심사”라고 말했다.

이에 정부가 아닌 의료계가 “환자를 더 사랑하는 사람인 만큼” 국민을 의료계 편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의사 수만 늘어나면 낙수 효과로 문제가 해결되리라는 생각은 더 이상 쓸모없다. 더 나은 대안을 정부에 구체적으로 요구하고 이를 국민의 이름으로 알릴 수 있도록 머리를 맞대자”고 제안했다.

응급의학과를 전공하다 휴학한 전호 전공의는 진정한 의료개혁을 이루려면 현장 전문가인 의사들과 정부 간 대화가 절실하다고 했다.

전 전공의는 “의료 정책에서 의사의 의견은 상식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상식은 그렇게 흔하지 않다”며 “건강 전략은 과학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게다가 의사들은 의학 지식뿐 아니라 환자와의 일상적인 경험도 있다. 그러다 보니 무엇이 효과가 있는지, 시급한지 등을 잘 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문가 의견 없이 만들어진 의료 정책을 국민이 보기에 그럴듯한 부분으로 포장된 것을 알 수 있다”면서도 “의사들은 그럴싸한 느낌만으로 환자를 진료하다가 형사처벌을 겪을 수 있다. 그러나 정책을 만든 이들은 그렇지 않다. 그런데도 정부는 비방과 선동, 협박와 회유만 고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정부 의료 정책에 의사들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고도 했다.

전공의는 “의료 정책에는 현장에서 일하는 의사들의 의견이 필요하다”며 “무릇 국가의 의료 정책이란 대계를 바라보고 가장 효율적인 방안을 설정하기 위해 토론과 검토 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지난 30일 서울 중구 덕수궁 앞에서 열린 대한의사협회  ‘대한민국정부 한국의료 사망선고’ 촛불집회에는 전공의와 의대생들도 다수 참여했다(ⓒ청년의사).
지난 30일 서울 중구 덕수궁 앞에서 열린 대한의사협회 ‘대한민국정부 한국의료 사망선고’ 촛불집회에는 전공의와 의대생들도 다수 참여했다(ⓒ청년의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