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병원협회, 소아응급실화 대책 촉구 기자회견 개최
진단 장비 포함 입원전담전문의 인적 자원 지원 촉구
최용재 회장 “응급검사 재량권 응급실 수준으로 확대해야”

대한아동병원협회가 30일 오후 '아동병원의 소아 응급실화 대책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인적·물적 지원책 필요성을 강조했다. 왼쪽부터 정성관 부회장, 최용재 회장, 이창현 부회장(ⓒ청년의사). 
대한아동병원협회가 30일 오후 '아동병원의 소아 응급실화 대책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인적·물적 지원책 필요성을 강조했다. 왼쪽부터 정성관 부회장, 최용재 회장, 이창현 부회장(ⓒ청년의사).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율 하락으로 상급종합병원 소아 의료체계 붕괴가 아동병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상급종합병원 중증 소아환자 진료가 어려워지면서 아동병원 응급실로 쏠림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한아동병원협회 30일 오후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아동병원의 소아 응급실화 대책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소아응급실화’ 되고 있는 아동병원에 대한 인적·물적 지원책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동병원협회는 소아응급실화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회원병원 117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설문에 참여한 50곳 가운데 10곳이 지난 한 달 간 준중증 이상 환자 이송 건수가 6~10건에 달한다고 답했다.

또 구급차로 내원한 중증 위급환자를 다시 상급병원으로 전원 이송하기 매우 어렵다고 답한 아동병원은 72%에 달했다. 중증 위급환자 대학병원으로 전원하기 위해 연락해 본 병원이 몇 곳이냐는 질문에 5건 이하가 90%로 가장 많았다.

지역 내 완결적 치료가 어려워 진료권역을 벗어나 전원 된 비율은 50%였다. 지난 한 달 간 진료권역을 벗어난 비율을 살펴보면 5건 이하 40%, 6~10건 2%, 20건 2%로 집계됐다.

최근 4개월 된 유아가 항문 주위 고름이 잡혀 항문외과와 대학병원 등을 돌다 수술 병원을 찾지 못해 아동병원으로 실려 왔는데, 수술할 외과의사는 있지만 수술 후 배후진료를 해 줄 소아과 의사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아동병원에서 수술을 마친 환자는 기능 이상 없이 잘 회복됐지만 아동병원에서는 중증환자 치료에 자원이 집중되면서 외래 환자 진료 대기, 의료진 소진 등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것.

아동병원협회 최용재 회장은 "소아응급환자 치료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아동병원에서 시행하는 응급검사 재량권을 응급실 수준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아동병원협회 최용재 회장은 "소아응급환자 치료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아동병원에서 시행하는 응급검사 재량권을 응급실 수준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최용재 회장은 “K-TAS 3~5 레벨에 해당하는 아이들은 아동병원에서 치료가 가능하다. 그 이상 호흡곤란 중에서도 당장 호흡부전이나 심 정지 상황이 되면 우리도 볼 수 없어 전원시키는데 원 거리 전원이 이뤄지는 상황이 벌어져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홍준 부회장은 “응급실 뺑뺑이가 이슈였다면 그 후 소아 의료전달체계가 무너지고 전공의 이탈 등으로 어쩔 수 없이 아동병원이 그 역할을 할 수밖에 없고 한 동안은 그 역할을 해내야 한다”고 했다.

이 부회장은 “중증 응급환자가 오면 외래는 물론 모든 의료진이 올 스톱이다. 그 환자를 살려내야만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후 환자 불만과 간호사들의 피로, 누적된 심리적 압박감 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도 문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응급실은 응급한 환자를 보기 위해 만들어진 곳이다. 배후진료가 다 돼 있는 곳이다 보니 자원들이 준비돼 있지만 아동병원은 지역의료도 책임져야 하고 응급 환아들도 들어오다 보니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아동병원협회는 초저수가로 인한 아동병원 재정 한계를 극복하고 소아응급환자 치료 극대화를 위해 CT 등 진단과 치료 장비 투자를 위한 국가와 지자체 지원을 촉구했다. 또 입원전담전문의 등 인적자원 지원 필요성도 피력했다.

최 회장은 “아동병원이 소아응급실 역할을 지금처럼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면 소아응급환자 치료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아동병원에서 시행하는 응급검사 재량권을 응급실 수준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아동병원 소아응급실화는 소아의료시스템 붕괴로 발생된 만큼 소아 의료를 전문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보건복지부 내 소아청소년 의료과를 신설해 향후 심각해질 소아 진료 내실을 기할 수 있는 정책 개발을 해야 한다”고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