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지던트 1년차 복귀 응답 '전무'…"사태 해결 없이 복귀 안 해"
산부인과, 政 필수의료 정책 오히려 "필수의료 위기 초래" 비판

대한산부인과의사회가 이번 의료 사태가 빨리 해결되지 않으면 후진 양성이 어렵다고 했다(ⓒ청년의사).
대한산부인과의사회가 이번 의료 사태가 빨리 해결되지 않으면 후진 양성이 어렵다고 했다(ⓒ청년의사).

"더 이상 산부인과 지원자를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분만 인프라 붕괴로 고민해 온 산부인과가 이제 '대가 끊길' 걱정까지 하게 됐다. "필수의료를 살리겠다며 오히려 필수의료 위기만 초래한" 정부 정책에 젊은 의사들이 산부인과 의사 되기를 포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산부인과의사회 김재연 회장은 7일 춘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병원을 떠난 산부인과 전공의 대다수가 수련 중단 의사를 드러냈다면서 정부가 정책 원점 재검토를 넘어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김 회장에 따르면 대한산부인과학회 자체 조사에서 올해 신규 레지던트(1년 차) 120여명 가운데 "현재 의료 사태가 끝나면 산부인과로 돌아와 수련하겠다"고 밝힌 전공의가 "거의 전무하다." 고연차로 갈수록 '복귀하겠다'는 응답이 늘어나지만 "이들마저도 근본적인 문제 해결 방안이 나오지 않으면 바로 돌아가지는 않겠다"는 태도다.

김 회장은 "1년만 더 수련하면 전문의 자격 취득이 가능한 레지던트 3년 차들조차 '사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즉시 복귀는 없다'고 답한다"며 "이대로면 산부인과는 당분간 레지던트 확보와 수련이 어렵다"고 우려했다.

이미 '늙어가는' 산부인과가 신규 지원자까지 줄면 그만큼 분만 인프라 위기는 커진다. 산부인과는 주요 필수의료 전문과 중에서도 전문의 평균 연령이 가장 높다(젊은 의사 없어 ‘늙어가는' 필수의료과…“20~30년 후 붕괴”).

이기철 부회장은 "산부인과 분만 인프라는 이미 망가지고 있었다. 수가 문제도 크지만 인력 문제가 심각하다. 의사와 간호사 모두 분만 분야 인력 유입이 안 된다. 고령화가 빨라지고 있다. 이번 사태까지 겹치면서 산부인과 수련을 하겠다는 레지던트 자체가 없어진 거다. 이대로면 파국에 이를 것"이라고 했다.

산부인과는 '낙수효과'를 기다리지 말고 "지금 현장에 있는 의사가 필수의료 영역으로 돌아갈" 정책을 달라고 했다.

이날 공개한 입장문에서 산부인과의사회는 "정부 의료 개혁은 의사 수 확대로 '낙수 효과'를 목표하는 게 아니라 현재 활동 중인 의사가 필수의료로 유입되는 데 집중해야 한다"며 "이를 위한 의료 환경 조성에 우선순위를 두라"고 했다.

산부인과의사회는 "젊은 의사가 필수의료를 기피하는 건 힘만 들고 보상은 적은데 각종 사고 위험으로 민형사 책임에 휘말리기 쉽기 때문"이라면서 "어렵고 힘든 분야는 파격적으로 보상하고 의료 사고나 분쟁 위험에서 벗어나 진료에 전념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필수의료 포기를 초래한" 2,000명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도 반드시 철회해야 한다고 했다. 사직한 전공의들이 제기한 '7대 요구사항'도 수용하라고 했다.

산부인과의사회는 "증원 백지화, 과학적 추계기구 설치, 종합병원 내 전문의 인력 증원, 사법 리스크 대책 마련, 업무개시명령 폐지, 전공의 교육 환경 개선, 정부의 부당한 명령 철회와 사과를 수용하라. 그래야만 이번 의료 대란을 멈출 수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