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C 2024' 포럼서 “政, 결자해지 해야” 목소리
일각선 “반대만 해 온 의료계 책임도” 지적

대한병원협회가 지난 11일 개최한 ‘The 15th Korea Healthcare Congress 2024’(KHC 2024)에서 ‘의대 증원 정책 어떻게 풀어야 하나’를 주제로 한 포럼에 참석한 의료계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갈등 해소 방안을 두고 의견이 분분했다(ⓒ청년의사).
대한병원협회가 지난 11일 개최한 ‘The 15th Korea Healthcare Congress 2024’(KHC 2024)에서 ‘의대 증원 정책 어떻게 풀어야 하나’를 주제로 한 포럼에 참석한 의료계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갈등 해소 방안을 두고 의견이 분분했다(ⓒ청년의사).

의과대학 정원 확대를 두고 두 달 넘게 이어지는 정부와 의료계 간 첨예한 갈등 해소를 위해서는 정부가 한 발 물러서 전향적으로 ‘원점 재검토’ 할 필요하다는 주장과 더불어 의사들도 사태 악화 책임이 있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대한병원협회가 지난 11일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개최한 ‘The 15th Korea Healthcare Congress 2024’(KHC 2024)에서 ‘의대 증원 정책 어떻게 풀어야 하나’를 주제로 한 포럼에 참석한 의료계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갈등 해소 방안을 두고 의견이 분분했다.

고려의대 의인문학교실 안덕선 명예교수는 “제22대 총선에 대해 정부·여당이 승복하고 의대 정원 확대도 원점 재검토해야 한다”며 “의료개혁을 하겠다며 행정 명령 한 자체가 시대착오적이고 전공의들에게 심적 트라우마를 줬다. 하루 바삐 문제를 일으킨 사람이 한발 물러서서 원점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김창수 교수는 “대한의사협회나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대한전공의협의회 조건은 단 하나다. 원점서 논의하자는 것”이라며 “또 믿을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만들도록 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정부는 의료계에서 과학적 근거를 갖고 오면 검토해 주겠다고 하지만 이는 정부의 책임 방기”라고 했다.

서울대병원 임상약리학과 이형기 교수는 “이대로는 학생들도 안 돌아온다. 5월까지 해결 안 되면 유급은 불가피하다”며 “그렇게 되면 앞으로 1년에 3,000명, 여기에 증원한 2,000명까지 5,000명, 유급한 3,000명 등 총 8,000명이 6년 동안 전국 의대에서 수업을 받아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현 사태를 촉발한 가장 큰 이유는 전공의가 일괄 사직한 것”이라며 “1년이나 2년 유예기간을 갖고 그 기간 동안 위워회 등을 구성해 우리에게 필요한 미래 의사 숫자가 얼마나 되고 뒷받침 할 수 있는 근거를 생산해야 한다. 유일한 해결은 묶은 쪽이 풀어야 한다”고 했다.

반면 무조건 현 사태에 대한 의료계 책임도 일정 부분 있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왔다.

인천시의료원 조승연 원장은 “정부가 2,000명 증원을 주장해 문제를 촉발한 것은 맞지만 지난 2000년 불과 400명 늘리는 것조차 대학병원장들이 나서서 절대 반대 입장을 고수했다. 과연 묶은 자는 누구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보건의료를 이렇게까지 만든 의사들의 책임도 상당히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2,000명 증원 안 하겠다고 해서 돌아온들 과거 형태로 병원 운영이 가능할 것인지, 사제 간 관계유지가 될 것인지에 대해 대부분 병원장들은 어려울 것이라고 이야기한다”며 “가장 중요한 건 전공의에 의존한 상급종합병원과 대형병원 구조”라고 지적했다.

조 원장은 “정부가 정책을 제안했을 때 백지화하고 원점 논의하자는 게 옳은가. 해결방법은 병원 시스템도 바꾸고 정부도 그에 맞는 지원을 해야 한다”며 “젊은 의사들에게도 어떤 가치를 지향하고 있는 것인지 물어보고, 이같은 설득이 이뤄지지 않으면 불가능하다”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